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공주시
온누리공주
고맛나루장터
365미디어홍보관
공주시의회
공주시 브랜드
Home
Language
ENG
中國語
日本語
Language
공주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MENU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닫기
세계유산도시 공주
세계유산도시 공주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 관광명소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체험/역사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행사/문화/예술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음식/숙박/쇼핑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추천여행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관광도우미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전체메뉴
HOME
공주시청
사이트맵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홈페이지가이드
사이트맵
로그인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통합검색
닫기
강한 공주, 행복한 시민
홈
축제/체험/역사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 관광명소
축제/체험/역사
행사/문화/예술
음식/숙박/쇼핑
추천여행
관광도우미
홈페이지가이드
역사
축제
체험
문화재
역사
웅진연표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무령왕
SNS공유 열림버튼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SNS공유 닫힘버튼
복사하기
프린트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무령왕 재위년수 : 23년 (A.D501~523)
501년 : 동성왕23
무령왕 (武寧王)1
3. 서리가 내려 보리농사 피해.
5. 가뭄이 계속됨.
5. 흑룡(黑龍)이 웅진(熊津)에 나타남.
7. 탄현(炭峴)에 책(柵)을 설치하여 신라에 대비함.
8. 가림성(加林城)을 쌓음.
10. 왕이 사비(泗沘)의 동원(東原)에서 사냥함.
11. 웅천(熊川)의 북원(北原)과 사비(泗沘)의 서원(西原)에서 사냥함.
12. 백가(苩加)가 동성왕을 살해함. 무령왕(武寧王)이 즉위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북위에 사신 보냄. (고)
1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이해. 왕이 사신을 보내 배필을 구함. (신)
중국
3. 남강왕(南康王) 보융(寶融, 화제(和帝))이강릉(江陵)에서 자립함. (남제)
7. 장흔태(張欣泰)가 패하여 죽음. (남제) 이해. 동혼후(東昏侯)를 폐하여 부릉왕(阜陵王)으로 삼음. (남제)
502년 : 무령왕2
1. 백가가 가림성(加林城)에서 반란을 일으킴. 봄. 기근과 유행병이 발생함.
4. 양(梁)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11. 고구려의 변경을 공격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순장을 금지함. 왕이 친히 신궁(神宮)에 제사지냄. (신)
3. 농사를 권장하고 처음으로 우경법(牛耕法)을 사용함. (신)
4. 양(梁)에서 관작을 보내옴. (고)
8. 충해 발생. (고)
10. 지진 발생. (고)
1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2. 소연(蕭衍)이 스스로 상국(相國) 양왕(梁王)이라 함. (남제)
4. 양왕(梁王)이 자립하고 화제(和帝)를 폐함. (남제 멸망)
8. 아악(雅樂)을 정함. (남제) 이해. 무제(武帝)가 왜왕 무(武)를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에 봉함. (양(梁))
503년 : 무령왕3
9. 마수책(馬首柵)을 불태우고 고목성(高木城)에 침입한 말갈을 격퇴함.
11. 고구려의 수곡성(水谷城)을 침범함.
겨울. 얼음이 얼지 않음.
동아시아정세
한국
10. 국호를 ‘신라(新羅)’,존호를 ‘왕(王)’이라 함. (신) 이해.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 건립. (신) (혹은 443년)
중국
4. 신율(新律)을 반포함. (양)
6. 북위가 공략해 옴. (양)
7. 부남(扶南)·중천립(中天笠) 등의 사자가 와서 조공(朝貢)함. (양)
504년 : 무령왕4
동아시아정세
한국
4. 상복법(喪服法)을 제정함. (신) 예실불(芮悉弗)을 북위에 사신으로 보냄. (고)
9. 파리성(波里城),미실성(彌實城),진덕성(珍德城)등 12성을 쌓음. (신)
중국
9. 9성(九城)을 북변에 축조함. (북위)
11. 국학(國學)을 경영함. (북위) 이해. 불교를 국교로 함. (양)
일본
9.1. 어명대(御名代)로서 소박뢰사인(小泊瀨舍人)을 둠.
10. 백제왕의 사자 마나수(麻那首)를 억류함.
505년 : 무령왕5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주(州), 군(郡), 현(縣)을 정하고, 실직주(悉直州)를 설치하여 이사부(異斯夫)를 군주(軍主)로 삼음. (신)
11. 처음으로 얼음을 저장하게 하고, 주즙(舟楫)의 이로움을 권함. (신)
중국
1. 주군(州郡)에 학교를 세움. (양)
8. 양(梁)을 침공함. (북위)
10. 임천왕(臨天王) 굉유담이 북위를 치고 낙구(洛口)에 이름. (양) 이해. 오경박사를 둠. (양) 북위에 배반하고 양에 항복함. (파서(巴西)
일본
4. 백제왕이 사자 사아군(斯我君)을 파견함.
506년 : 무령왕6
봄. 전염병 발생.
3. 가뭄으로 기근이 발생하여 구휼함.
7. 말갈이 쳐들어와 고목성(高木城)을 깨뜨림.
동아시아정세
한국
봄. 여름. 가뭄발생. (신)
8. 용산(龍山) 남쪽에서 사냥함. (고)
9. 사신을 북위(北魏)에 보냄. (고)
11. 백제를 정벌하려다가 큰 눈으로 되돌아 옴. (고)
중국
4. 원영(元英)을 보내 제군을 감독하고 양(梁)을 막게함. (북위) 이해. 숙예(宿預)·양성(梁城)·소현(小峴)·합비(合肥)등의 성(城)을 취함. (양)
일본
12.8. 무열천황(武烈天皇)이 죽었는데 후계자가 없음.
507년 : 무령왕7
5. 고목성(高木城) 남쪽에 두 개의 책(柵)을 세우고 장령성(長嶺城)을 쌓아 말갈에 대비함. 10. 고구려 장수 고노(高老)가 말갈과 더불어 한성을 공격해 와 이를 격퇴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10.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3. 조경(曹景)·종위예(宗韋叡)가 크게 위군대를 종리(鍾離)에서 무너뜨리고 풍익(馮翊) 7군(郡)이 배반하여 위에 항복함. (양)
일본
1.4. 대반금촌대연(大伴金村大連)이 남대적왕(男大迹王)의 옹립을 꾀함.)
1.6. 신하 연(連)이 월전(越前)의 삼국(三國)을 맞이함.)
1. 왕이 서울에 들어옴.)
ㅊ2.4. 계체천황(繼體天皇)이 장엽궁(樟葉宮)에서 즉위함.
508년 : 무령왕8
12. 탐라(耽羅)와 처음으로 통교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5.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12.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양나라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고)
중국
1. 관품(官品)을 정하여 18반(班)으로 함. (양) 이해. 현호(縣瓠)가 배반하여 양에 항복하고 다시 그를 취함. 양의 군대를 의양(義陽)에서 무너뜨리고 후에 영주를 취함. (북위)
509년 : 무령왕9
이해. 일본에서 사신을 보내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왕경(王京)에 동시(東市)를 설치함. (신)
3. 함정을 파서 맹수의 해를 덜게 함. (신)
5. 북위에 사신 보냄. (고)
7. 서리가 내려 콩농사 피해. (신)
중국
3. 북위 군대를 양주(梁州)에서 무너뜨림. (양)
11. 왕이 친히 불서(佛書)를 강론함. (북위) 이해. 낙양(洛陽)에 영명한거사(永明閑居寺)를 건립함. (북위)
일본
2. 백제에 사자를 파견함.
510년 : 무령왕10
1. 제방(堤防)을 쌓고, 유민(遊民)을 농업에 종사케 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5. 지진 발생. (신)
윤6. 북위(北魏)에 사신 보냄. (고)
10. 우뢰가 있음. (신)
1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3. 무제(武帝)가 국자학(國子學)을 순시함.(양)
10. <대명력(大明歷)>을 행함. (양) 이해. 연회당(緣淮塘)을 만듦으로써 경사(京師)를 견고히 함. (양)
511년 : 무령왕11
동아시아정세
중국
5. 천문학(天文學)을 금함. (북위)
일본
10. 도읍을 산배(山背)의 통성(筒城)으로 옮김.
512년 : 무령왕12
4.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9. 고구려가 침공해 와 가불성(加弗城)과 원산성(圓山城)을 함락함.
12. 왜에 사신을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고)
5.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6.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정벌함. (신)
중국
1. 고조(高肇)가 사도(司徒)가 됨. (북위)
11. 오례(五禮)가 이루어짐. (양) 이해. 무제(武帝)가 10명의 학승을 섭산(攝山) 서하사(棲霞寺)에 보내어 고구려인 승랑(僧郞)에게 수학하게 함. (양)
일본
4.6. 수적신압산(穗積臣押山)에게 말 40필을 주어 백제로 보냄.
12. 백제의 요구에 응해 임나의 4현을 할양함.
513년 : 무령왕13
6. 일본에 오경박사(五經博士) 단양이(段楊爾)를 파견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북위에 사신 보냄. (고)
5. 북위에 사신 보냄. (고)
1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2. 울주(鬱州)가 배반하여 북위에 항복하고 토벌하여 그를 평정함. (양)
윤3. 《송서(宋書)》의 편찬자인 심약(沈約)이 죽음. (양)
일본
6. 백제가 수적신압산(穗積臣押山)과 함께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를 보냄. 또 반파국(伴跛國)에 빼앗겼던 땅 기문(己汶)의 회복을 청함.
11.5. 백제에게 기문(己汶)·체사(滯沙)의 회복을 인정함.
514년 : 무령왕14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을 설치함. (신) 지증왕 때 천상유개자(川上有皆子《간인(竿引)》을 만듦. (신)
7. 6부(六部) 및 남쪽 지방의 백성들을 아시촌소경에 이주시킴. 지증왕(智證王)이 죽고 법흥왕(法興王)이 즉위함. 처음으로 시호법(諡號法) 시작함. (신)
11.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2. 황제가 적전(籍田)을 경작함. (양)
3. 노생(魯生)을 격파함. (북위)
11. 북위가 익주(益州)를 침략함. (양) 이해. 회언(淮堰)을 축조함. (양)
일본
1. 태자의 비 춘일황녀(春日皇女)에게 잡포둔창을 줌.
9. 반파국(伴跛國)이 성을 쌓아, 일본에 대한 방비를 견고히 함.
515년 : 무령왕15
동아시아정세
한국
10.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이해. 왜(倭)에 파견된 백제사자 문귀(文貴) 장군의 파면을 요청함. (신)
중국
1. 선무제(宣武帝)가 죽고 효명제(孝明帝)가 즉위함. (북위)
2. 고조(高肇)를 주살함. (북위) 여름. 회언(淮堰)이 무너져 다시 그를 축조함. (양) 이해. 대한(大寒)에 회사(淮泗)의 제하(諸河)가 모두 얼음. (양)
일본
2.4. 백제의 사자를 보내고 물부연(物部連)을 파견함.
4. 물부연(物部連)이 반파국군(伴跛國軍)과 대사강(帶沙江)에서 싸우고, 문모라(汶慕羅)에서 패함.
516년 : 무령왕16
3.1. 일식 이해. 오경박사(五經博士) 고안무(高安茂)를 일본에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신궁(神宮)에 제사 지냄. (신)
4. 양나라에 사신 보냄. (고)
9. 고구려 사신 안정(安定)이 일본에 도착함. (고)
중국
9. 회언이 다시 무너짐. (양) 이해. 양의 군사를 공략하여 협석에서 이김. 영녕사(永寧寺)·석굴사(石窟寺)를 지음. (북위) 고거(高車)를 정벌하고, 왕을 죽임. (유연)
일본
5. 백제가 물부연(物部連)을 맞아들임.
9. 백제의 사자가 물부연(物部連)을 보내옴. 또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를 고안무(高安茂)와 교대시킴.
517년 : 무령왕17
동아시아정세
한국
4. 병부(兵部) 설치. (신)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일본
4. 종묘(宗廟)에 채소와 과일을 사용하여 희생되는 짐승에 대신함.
(양)11. 모한총(牟漢寵)이 반란을 일으켜 북위에 투항함. (양) 이해. 제전(諸錢)의 통행(通行)을 제정함. (북위) 이무렵. 가사협이 《제민요술(齊民要術)》을 편찬함. (북위)
518년 : 무령왕18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주산성(株山城)을 쌓음. (신) 북위(北魏)에 사신을 보냄. (고)
3. 폭풍으로 나무가 뽑히고 왕궁(王宮) 남문이 저절로 부서짐. (고)
4. 북위에 사신 보냄. (고)
5.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이해. 송운(宋雲)·혜생(慧生)이 불서(佛書)를 구하러 인도(印度)로 향함. 천하의 모든 군(郡)에 불탑을 건립함. (양) 삼자석경(三字石經)을 보완함. 사신을 서역(西域)에 보내어 불서(佛書)를 구함. (북위)
일본
3.9. 도읍을 산배(山背)의 제국(弟國)으로 옮김.
519년 : 무령왕19
동아시아정세
한국
이해. 문자명왕(文咨明王)이 죽고 안장왕(安臧王)이 즉위함. 북위에서 안장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고)
중국
2. 우림호분(羽林虎賁)이 반란을 일으킴.(북위)
11. 임성왕(任城王) 징(澄)이 죽음. (북위) 이해. 승려 혜교(慧皎)가 《고승전(高僧傳)》을 저술함. (양)
520년 : 무령왕20
2. 무령왕비은천(武寧王妃銀釧)을 제작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고) 율령(律令)을 반포하고, 공복(公服)을 제정함. (신)
2. 양나라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뒤이어 북위에서도 관작을 보냄. (고) 9. 양나라에 사신 보냄. (고)
중국
이해. 강회해(江淮海)가 넘침. 영창후(永昌侯) 위예(韋叡)가 죽음. 고구려가 입공(入貢)함. (양) 양(梁)과 북위(北魏)가 비로소 수호(修好)함. 아나양을 유유왕으로 함. (북위)
521년 : 무령왕21
5. 홍수(洪水) 발생.
8. 누리가 있어 곡물을 해침. 기근이 심하여 신라로 도망하는 자가 많음.
11.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12. 양나라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4.7. 겸지왕이 죽고 구형왕이 즉위함. (가)
4. 왕이 졸본(卒本)에서 시조묘(始祖廟)에 제사. (고)
11.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신)
중국
1. 고독원(孤獨園)을 두어서 빈민을 구제함. (양)
8. 유연(柔然)이 항복하고, 그 국(國)을 나누어 2부(部)로 함. (북위) 이해. 송운(宋雲)·혜생(慧生)이 범본(梵本)을 가지고 인도에서 낙양(洛陽)으로 돌아옴. (북위) 《천자문(千字文)》을 쓴 주흥사(周興嗣)가 죽음. (양)
522년 : 무령왕22
9. 왕이 호산원(狐山原)에서 사냥함.
10. 지진(地震) 발생.
동아시아정세
한국
3. 가야왕의 청혼을 받고 비조부(比助夫)의 누이를 보냄. (신)
중국
4. 고거왕(高車王)의 동생이 왕을 죽이고 자립함. (양)
11. 정광력(正光曆)을 반포·시행함. (북위)
일본
2. 남양의 사마달(司馬達) 등이 불교를 전함.
523년 : 무령왕23
성왕(聖王)1
2. 왕이 한성(漢城)으로 행차하여 좌평 인우(因友)와 달솔 사오(沙烏) 등에게 명하여 15세 이상자를 동원하여 쌍현성(雙峴城)을 쌓음.
5. 무령왕이 죽고 성왕이 즉위함. 시호법(諡號法) 시작. 이해. 무령왕지석(武寧王誌石) 만듦.
동아시아정세
한국
봄. 가뭄발생. (고)
10. 기근이 있어 백성들을 구휼함. (고)
11. 북위에 사신 보냄. 적전(藉田) 경작. (고) 이해. 감사지(監舍知) 19인을 둠. (신)
중국
12. 철전(鐵錢)을 주조함. (양) 이해. 승려 송운(宋雲)이 인도(印度)에서 돌아옴. (양) 옥야진(沃野鎭)의 민(民)이 반(反)함. (북위) 효원서(孝院緖)의 《7록(七錄)》이 이룩됨. 해남성(海南省)의 숭악사탑(嵩岳寺塔)이 이룩됨.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문화재과
담당자 :
박미숙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1-09-27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