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공주시
온누리공주
고맛나루장터
365미디어홍보관
공주시의회
공주시 브랜드
Home
Language
ENG
中國語
日本語
Language
공주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MENU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닫기
세계유산도시 공주
세계유산도시 공주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 관광명소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체험/역사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행사/문화/예술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음식/숙박/쇼핑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추천여행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관광도우미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전체메뉴
HOME
공주시청
사이트맵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홈페이지가이드
사이트맵
로그인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통합검색
닫기
강한 공주, 행복한 시민
홈
축제/체험/역사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 관광명소
축제/체험/역사
행사/문화/예술
음식/숙박/쇼핑
추천여행
관광도우미
홈페이지가이드
역사
축제
체험
문화재
역사
웅진연표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동성왕
SNS공유 열림버튼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SNS공유 닫힘버튼
복사하기
프린트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동성왕 재위년수 : 23년 (A.D479~501)
479년 : 삼근왕3
동성왕(東城王)1
3. 남제(南齊)에 사신을 보냄. 봄·여름. 크게 가뭄.
9. 대두성(大豆城)을 두곡(斗谷)으로 옮김.
11. 삼근왕이 죽고 동성왕(東城王) 이 즉위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3. 자비마립간이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이 즉위함.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고 모든 관리들에게 관작을 한 등급씩 올려줌. (신)
3.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남제에 사신을 보냄. (가) 도이사(桃李寺)를 창건함. (신)
중국
4. 소도성(蕭道成)이 고조(高祖)를 폐하여 여음왕(汝陰王)으로 삼고 찬위함. 이로인하여 송(宋)이 멸망함. (남제(南齊)건국) 이해. 여음왕을 시해하고 그 족(族)을 멸함. (송) 고윤(高允)이 율령(律令)을 의논하여 정함. (북위)
일본
8.7. 안강천황(安康天皇)이 죽음.
10.4 천황의 셋째 아들이 위(位)를 이음. 이해. 왜왕 무(武)가 남제의 고제(高帝)로부터 사지절도독(使持節都督) 육군사동대장군(六軍事東大將軍)의 칭호를 받고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이라 칭함.
480년 : 동성왕2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시조묘(始祖廟)에 제사지냄. (신)
4. 남제(南齊)에서 왕에게 관작을 수여함. (고)
5. 왕도(王都)에 가뭄이 듦. (신)
10. 기근이 심해 창고를 열어 진휼함. (신)
11. 말갈이 북쪽 변경을 침입함. (신) 이무렵. 집안우산하고분군유적,집안장천1호분유적 등 형성. (고)
중국
이해. 남제에 23주(州)·390군(郡)·1485현(縣)이 존재하고 건강(建康)에 도장(都牆)을 세움. 민적(民籍)을 검정(檢定)함. (남제(南齊) 남제(南齊)를 쳐서 이기지 못하고 돌아옴. (북위)
일본
1.15. 청녕천황(淸寧天皇)이 반여옹율궁(磐余甕栗宮)에서 즉위함.
481년 : 동성왕3
3.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신라를 구원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왕이 비열성(比列城)에 거동하여 군사들을 위로함. (신)
3. 말갈과 함께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범 하여 호명성(狐鳴城)등 7성(城)을 점령함. (고) 고구려·말갈의 군사를 이하(泥河) 서쪽에서 백제·가야 연합군과 함께 격파함. (신) 이해. 남제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1. 북위 군대를 회양(淮陽)에서 무너뜨림. (남제)
2. 승려 법수(法秀)가 모반하여 사형함. (북위) 이해. 사신을 보내 북위에 가게 함. (남제) 서주(徐州)·연주가 평정됨. (북위)
일본
2. 제국(諸國)에 백발부사인(白髮部舍人)·백발부선부(白髮部膳夫)·백발부인부(白髮部靭負)를 설치함.
11. 니중천황(履中天皇)의 손자 억계(億計)·홍계(弘計) 두 왕을 파마(播磨)에서 발견함.
482년 : 동성왕4
1. 진노(眞老)를 병관좌평(兵官佐平)으로 삼고, 내외(內外)의 병마사를 맡김.
9. 말갈이 한산성(漢山城)을 침입함.
10. 큰 눈이 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2. 큰 바람이 불고 금성(金城) 남문(南門)에 화재. (신)
4. 비가 오랫 동안 내려 지방과 중앙의 관리들에게 죄수의 죄를 다시 살피게 함. (신)
5. 왜인(倭人)이 변방에 침입함. (신)
중국
3. 고제(高帝)가 죽고 무제(武帝)가 즉위함. (남제)
일본
3. 억계(億計)·홍계(弘計) 두 왕을 궁중으로 맞아들임.
11. 해외(海外)의 제번(諸蕃)이 조공함.
483년 : 동성왕5
2. 남제에 사신을 보냄. 남제에서 삼근왕(三斤王)에게 관작을 보냄. 봄. 한산성(漢山城)의 군민(軍民)을 위로함.
4. 왕이 웅진(熊津)의 북쪽에서 사냥하여 신록(神鹿)을 잡음.
10. 큰 눈이 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4. 큰 물이 남. (신)
7. 큰 물이 남. (신)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범함. (고)
10. 일선(一善)에 행차하여 재해를 입은 백성을 위로함. (신)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11. 우뢰가 있고 전염병이 유행함. (신) 이해. 선산 도이사(桃李寺)의 화엄석탑(華嚴石塔)을 건립함. (신)
중국
이해. 동성혼(同姓婚)을 금함. 한화정책(漢化政策)을 실시함. (북위) 군·현관(郡·縣官)의 전질(田秩)을 회복함. (남제)
일본
1.7. 해외의 제번(諸蕃)의 사자를 궁중으로 초대해 잔치를 베풂.
484년 : 동성왕6
2. 남제에 사신을 보냄.
5. 신라와 교빙함.
7. 내법좌평(內法佐平) 사약사(沙若思)를 남제에 사신으로 보냈으나 서해에서 고구려의 저지로 되돌아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오함(烏含)을 이벌찬(伊伐 )으로 삼음. (신)
3. 우박이 내림. (신)
7. 북쪽 변경을 침범한 고구려를 백제의 구원병과 함께 모산성(母山城)에서 격파함. (신)
10. 북위에 사신을 보냄.(고)
중국
6. 반록(班祿, 지위에 따라 성명(姓名)을 기록하다)을 시작함. (북위) 이해. 장릉왕(章陵王)의 아들 양(良)이 사도(司徒)가 됨. (남제)
일본
1. 청녕천황(淸寧天皇)이 죽음. 억계(億計)·홍계(弘計) 두 왕이 서로 양보해 즉위하지 않기 때문에 형제의 누이인 반풍황녀(飯豊皇女)가 집성함.
11. 반풍황녀(飯豊皇女)가 죽음.
12. 억계(億計)·홍계(弘計)가 다시 양보해 즉위하지 않음.
485년 : 동성왕7
5. 신라에 사신을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2. 구벌성(仇伐城)을 쌓음 (신)
4. 시조묘(始祖廟)에 제사지냄.(신)
5. 북위에 사신을 보냄.(고)
10. 북위에 사신을 보냄.(고)
중국
1. 참위무(讖緯巫)를 금함. (북위)
10. 균전제(均田制)를 실시함. (북위) 이해. 부양(富陽)의 민(民) 당우지(唐寓之)가 난을 일으킴. (남제) 국학(國學)을 다시 설치함. (북위) 터키계 고운(高暈)이 유연(柔然)에서 이탈하여 천산(天山) 북쪽 능선에 건국함. (외몽고(外蒙古)
일본
1. 홍계왕(弘計王)이 즉위함.(현종천황(顯宗天皇)
3. 후원(後苑)에서 곡수연(曲水宴)을 벌임.
486년 : 동성왕8
2. 백가를 위사좌평(衛士佐平)으로 삼음.
3. 남제에 사신을 보냄.
7. 궁실을 중수하고 우두성(牛頭城)을 쌓음.
10. 궁성 남쪽에서 군사를 열병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이찬 실죽(實竹)을 장군(將軍)으로 삼고 삼년산성(三年山城)과 굴산성(屈山城)을 개축함. (신)
2. 내숙(乃宿)을 이벌찬으로 삼음. (신)
3. 남제에 사신을 보냄. (고)
4. 왜인이 변방을 침범함. (신)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8. 낭산(狼山) 남쪽에서 군사를 사열함. (고)
중국
1. 왕이 조회(朝會)함에 처음으로 곤면(袞冕)을 입음. (북위)
2. 호적법(戶籍法)을 정함. (북위)
5. 오등(五等)의 공복(公服)을 제정함. (북위) 이해. 토벌하여 당우지(唐寓之)를 평정함. (남제) 중서학(中書學)을 국자학(國子學)으로 고침. 주군(州郡)을 나누어 38주를 둠. (북위)
487년 : 동성왕9
동아시아정세
한국
2. 나을(奈乙)에 신궁(神宮)을 건립함. (신)
3. 처음으로 사방에 우역(郵驛)을 설치하고 관도(官道)를 수리함. (신)
3. 남제에 사신을 보냄. (고)
5.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7. 월성(月城)을 수리함. (신)
10. 천둥이 침. (신)
중국
2. 진현달(陳顯達)이 북위군과 싸워 이김. (남제)
8. 고거(高車)의 아복지라(阿伏至羅)가 왕을 칭함. 이해. 북위를 침입함. (유연)
일본
4. 복초부(福草部)를 설치함. 현종천황(顯宗天皇)이 죽음.
488년 : 동성왕10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월성(月城)으로 왕이 거처를 옮김. (신)
2. 신라왕이 일선군(一善郡)으로 행차함. (신) 북위에 사신 보냄. (고)
4. 북위에 사신 보냄. (고)
7. 도나성(刀那城)을 쌓음. (신)
윤8.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12. 북위에 굴복함. (유연) 이해. 북위의 차양을 침략하였으나 실패함. (남제) 군신(群臣)들과 언사(言事)를 의논함. (북위)
일본
1.5. 현종천황(顯宗天皇)의 형인 억계왕(億計王)이 즉위함. (인현천황(仁賢天皇)
489년 : 동성왕11
가을. 풍년이 듦.
10.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냄.
11. 왕이 남당(南堂)에서 군신들과 연회.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유민(遊民)을 농업에 종사케 함. (신)
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6. 북위에 사신 보냄. (고)
10. 신라를 공격하여 호산성(狐山城)을 함락함. 북위에 사신을 보냄.(고) 이해. 대화십삼년명석불상(大和十三年銘石佛像)건립. (고)
중국
5. 왕검(王儉)이 죽음. (남제)
2. 남제(南齊)와 북위(北魏)가 서로 사신을 보냄. 이해. 남교(南郊)에 대가(大駕)를 갖춤. (북위)
일본
9. 난파소야황후(難波小野皇后)가 불경죄를 두려워해 자살함.
490년 : 동성왕12
7. 사현성(沙峴城)과 이산성(耳山城)을 쌓음.
9. 사비 벌판에서 사냥함. 연돌(燕突)을 달솔(達率)로 삼음.
11. 얼음이 얼지 않음. 이해. 국경에 침입한 북위군 수십만을 대파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 비라성(鄙羅城)을 다시 쌓음.(신)
3. 용이 추라정(鄒羅井)에 나타남. 경도(京都)에 시장을 처음으로 개설함. (신)
7. 북위에 사신 보냄. (고)
9.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9. 풍태후(馮太后)가 죽음. 효문제(孝文帝)가 친정함. (북위) 이해. 고거(高車)가 사신을 보내어 입공(入貢)함.
일본
2. 석상부사인(石上部余人)을 설치함.
491년 : 동성왕13
6. 홍수로 왕경(王京)의 200여가가 표몰됨.
7. 기근이 심하여 600여호가 신라로 도망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5.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7.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12. 장수왕이 죽고 문자명왕(文咨明王)이 즉위함. (고) 이해. 모두루묘지(牟頭婁墓誌) 만듦. (고)
9.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12. 율서(律書)가 완성됨. (남제) 이해. 사신을 보내어 북위에 가게 함. 사전(祀典)을 바로 함. 관품(官品)을 바로하여 목수(牧守)를 고찰함. 율령을 개정함. (북위)
492년 : 동성왕14
3. 눈이 내림.
4. 바람이 크게 불어 나무가 뽑힘.
10. 왕이 우명곡(牛鳴谷)에서 사냥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3. 북위에서 왕에게 관작을 줌. (고)
6.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8.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10. 북위에 사진을 보냄. (고) 이해. 질지왕 죽고, 겸지왕이 즉위함. (가)
중국
7. 토곡혼(吐谷渾)이 북위에 조공함. (북위) 이해. 심약(沈約)에게 《송서(宋書)》를 편찬하게 함. (남제) 태화율령(태화율령)을 반포함. 유연(柔然)을 대적(大石責)에서 격파함. (북위)
일본
2.5. 제국에 흩어져 있던 좌백부(佐伯部)를 모아서 좌백부중자(佐伯部仲子) 매윤(賣輪)의 자손을 좌백조(佐伯造)로 삼음.
493년 : 동성왕15
3. 눈이 내림.
3. 왕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함에 신라에서는 이벌찬 비지(比智)의 딸을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7. 임해진(臨海鎭)과 장령진(長嶺鎭)을 설치하여 왜구에 대비함. (신)
9. 왜(倭)에서 사신을 보내어 공인(工人)를 구함에 수류지(須流枳), 노류지(奴流枳)등을 보냄. (고)
10. 지진 발생. (고)
중국
10. 남제(南齊)를 쳐서 낙도(洛都)를 경영함. (북위) 이해. 태자 장무(長懋)가 죽음. 무제(武帝)가 죽고, 태손 소업(昭業)이 즉위함. (남제) 처음으로 적전(籍田)을 경작하고, 친히 죄인들을 기록함.(북위)
일본
4. 일응길사(日鷹吉士)를 고구려에 보내어 교수자(巧手者)를 초청함. 이해. 길사(吉士)가 공장(工匠)인 수류지(須流枳), 노류지(奴流枳)를 따라서 귀국함.
494년 : 동성왕16
7. 신라와 고구려가 살수에서 싸우다가 신라가 패하자 구원을 요청하여 원병을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1.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2. 부여왕이 고구려에 항복해 옴. (고)
4. 큰 물이 남. (신)
7. 신라와 살수원(薩水原)에서 싸움. 남제에서 관작을 보내옴.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소란(蕭鸞,명제(明帝)이 황제를 시해하고 소문(昭文)을 세움. (남제)
10. 소란이 또 소문을 폐하여 해릉왕(海陵王)으로 하고 자립함. 연이어 해릉왕을 시해함. (남제)
11. 낙양(洛陽)으로 천도하고 호복(胡服)을 금함. (북위) 이해. 남제를 침. (북위)
일본
이해. 소박뢰치초료존을 세워 황태자로 삼음.
495년 : 동성왕17
5. 일식.
8. 고구려가 쳐들어와 치양성(雉壤城)을 포위하자 신라에 구원을 요청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신궁(神宮)에 제사지냄. (신)
2. 북위에 사신 보냄. 큰 가뭄. (고)
5. 북위에 사신 보냄. (고)
7. 왕이 남쪽에서 사냥하고 바다에 제사지냄. (고)
중국
2. 남제(南齊)를 공격함. (북위)
6. 선비어(鮮卑語)를 금함. (북위) 이해. 노(魯)에 가서 공자(孔子)를 제사지냄. 태학(太學)을 세우고, 반품(班品)에 명하여 관복(冠服)을 하사함. 오수전(五銖錢)을 주조함. (북위)
496년 : 동성왕18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신라에 흰 꿩을 선물함. (가)
3. 궁실을 중수함. (신)
5. 알천(閼川)이 범람하여 민가 200여호가 떠내려 감. (신)
7. 신라의 우산성(牛山城)을 공격하였으나 패함. (고) 이해. 남제에서 관작를 보내옴. (고)
중국
1. 족성(族姓)을 정함. (북위) 이해. 상평창(常平倉)을 둠. (북위)
497년 : 동성왕19
5. 병관좌평(兵官佐平) 진로(眞老)가 죽고 연돌(燕突)을 병관좌평으로 삼음.
6. 큰 비가 와서 민가가 떠내려 감.
동아시아정세
한국
4. 왜구가 변경을 침범함. (신)
7. 가뭄과 누리가 있음. 관리들에게 인재를 추천하게 함. (신)
8. 신라를 공격하여 우산성(牛山城)을 함락함. (고)
중국
1. 왕안(王安)을 죽임. (남제)
8. 남제를 쳐 남양(南陽)을 공략했으나 이기지 못함. (북위) 이해. 저를 정벌함. (북위)
498년 : 동성왕20
1. 웅진교(熊津橋)를 가설함.
7. 사정성(沙井城)을 축조함.
8. 탐라(耽羅)가 조공을 바치지 않아 정벌하려다가 탐라가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그만둠.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왕자 흥안(興安)을 태자로 삼음. (고)
7. 금강사(金剛寺)를 창건함. (고)
8.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4. 왕경칙(王敬則)이 반란하여 사형함. (남제) 이해. 명제(明帝)가 죽고 동혼후 (東昏侯)가 즉위함. (남제) 고거(高車)를 격파함. (북위)
일본
8.8. 인현천황(仁賢天皇)이 죽음.
12. 소박뢰치초료황자가 박뢰열성(泊瀨列城)에서 즉위함. (무열천황(武烈天皇)
499년 : 동성왕21
여름. 크게 가물어 흉년이 들자 기근으로 도적이 생기고 고구려로 도망하는 자가 2.000명에 이름.
10. 유행병이 발생함.
동아시아정세
중국
4. 효문제(孝文帝)가 곡당(穀塘)에서 죽고, 선무제(宣武帝)가 즉위함. (북위) 이해. 풍후(馮后)를 폐함. (북위)
500년 : 동성왕22
봄. 궁성(宮城)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지음.
4. 우두성(牛頭城)에서 사냥함.
5. 가뭄. 왕이 임류각(臨流閣)에서 밤새도록 연회를 즐김. 이무렵. 부여군수리 출토 금동보살상. 서산마애삼존불 등 만들어짐.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왜인(倭人)이 장봉진(長峯鎭)에 침입함. (신)
4.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금성(金城)의 우물에 용이 나타남. (신)
8.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9. 왕이 나이군(捺已郡)에 순행하여 파로(波路)의 딸 벽화(碧花)를 만남. (신) 소지마립간 때 승려 아도(阿道)가 고구려로부터 옴. (신)
11. 소지마립간이 죽고 지증왕(智證王)이 즉위함. (신) 이무렵. 동명왕릉 중화성내벽화고분 등 만들어짐. (고) 경주 제155호분 만들어짐. (신)
중국
1. 배숙업(裵叔業)이 수양(壽陽)을 이용하여 배반하고 북위에 항복함. (남제)
2. 소의(蕭懿)를 죽임. (남제)
11. 소형(蕭珩)이 군사를 일으킴. (남제) 이해. 북위를 공략하다가 대패하여 회남(淮南) 땅을 잃음. (남제)
일본
9. 천황이 임부의 배를 가르고, 태아를 봄.
501년 : 동성왕23
무령왕(武寧王)1
3. 서리가 내려 보리농사 피해.
5. 가뭄이 계속됨.
7. 탄현(炭峴)에 책(柵)을 설치하여 신라에 대비함.
8. 가림성(加林城)을 쌓음.
10. 왕이 사비의 동원(東原)에서 사냥함.
11. 웅천(熊川)의 북원(北原)과 사비의 서원(西原)에서 사냥함.
12. 백가가 동성왕을 살해함. 무령왕(武寧王)이 즉위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1. 북위에 사신 보냄. (고)
12.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이해. 왕이 사신을 보내 배필을 구함. (신)
중국
3. 남강왕(南康王) 보융(寶融, 화제(和帝)이강릉(江陵)에서 자립함. (남제)
7. 장흔태(張欣泰)가 패하여 죽음. (남제) 이해. 동혼후(東昏侯)를 폐하여 부릉왕으로 삼음. (남제)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문화재과
담당자 :
박미숙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1-09-27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