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공주시
온누리공주
고맛나루장터
365미디어홍보관
공주시의회
Home
Language
ENG
中國語
日本語
Language
공주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MENU
흥미진진 공주 문화관광
닫기
세계유산도시 공주
세계유산도시 공주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 관광명소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체험/역사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행사/문화/예술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음식/숙박/쇼핑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추천여행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관광도우미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
설계합니다.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전체메뉴
HOME
공주시청
사이트맵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공주의 세계기록유산
공주 관광명소
공주10경
계룡산
갑사
금강
공산성
고마나루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마곡사
동학사은선폭포
석장리풍경
금학생태공원
박물관/전시관
국립공주박물관
석장리박물관
한국자연사박물관
충남역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박동진판소리전수관
임립미술관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지당자연사박물관
영명역사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종교/유적
갑사
동학사
신원사
마곡사
우금치전적지
황새바위성지
공주중동성당
공주제일교회 기독교박물관
수촌리고분군
3.1 중앙공원(유관순동상)
주요관광지
공주한옥마을
유구벽화마을
상신리 돌담길
풀꽃문학관
제민천
계룡산 도예촌
불장골 저수지
생태공원
정안천생태공원
금학생태공원
공주산림휴양마을
공주의산
태화산
계룡산
연미산
창벽산
월성산
공주대간
축제/체험/역사
축제
[봄] 계룡산 벚꽃축제
[봄] 계룡산산신제
[봄] 갑사 황매화축제
[봄] 마곡사 신록축제
[봄]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봄] 공주항공축제
[여름] 유구색동수국정원꽃 축제
[가을] 백제문화제
[겨울] 겨울공주 군밤축제
[가을] 공주 국제미술제
[가을] 구절산 구절초 축제
체험
한옥마을전통문화체험
도예촌체험
판소리체험
궁도체험
백제문화체험
흥미진진공주나드리체험
홈스테이
템플스테이
백제문화학교
밤마실 야시장
치즈만들기 체험
ICT 역사문화체험
청벽수상레저
공주경비행장
곰나루어린이수영장
정글스토리 노라쥬
문화재
공주시문화재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
역사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행사/문화/예술
문화행사
문화재 야행
공주원도심 밤마실
생생 문화재 활용사업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공주대표여행상품
신바람 공주 시티투어
문화공연
백제미마지탈이온다
백제 어울마당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금강자연미술 비엔날레
마곡사 토요무대
음식/숙박/쇼핑
으뜸공주맛집
공산성/무령왕릉 주변
마곡사 주변
계룡산국립공원 주변
맛있는 공주
숙박정보
쇼핑정보
공주페이가맹점
추천여행
공주락
코스여행
도보여행
자전거여행
일정별여행
당일여행
1박2일여행
2박3일여행
맞춤코스추천
오늘의 공주
민속기행
이거리를말한다
비대면여행
홍보영상
관광도우미
공지사항
교통안내
버스
기차(KTX)
신갑동셔틀버스
고마열차
관광종합안내
관광안내소
주요관광지입장료
관광안내전화 1330
관광책자 신청
공주랑 어플리케이션
참여마당
관광Q&A
관광불편신고
문화관광 해설예약
문화관광 해설사 소개
예약확인 및 취소
문화관광해설영상
공산성 해설활동
무령왕릉 해설활동
근대문화유적 해설활동
여행사진 공모전
아름다운 공주 전국사진공모전
웅진 백제문화제 전국사진공모전
공주 10경 갤러리
홈페이지가이드
사이트맵
로그인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통합검색
닫기
강한 공주, 행복한 시민
홈
축제/체험/역사
세계유산도시 공주
공주 관광명소
축제/체험/역사
행사/문화/예술
음식/숙박/쇼핑
추천여행
관광도우미
홈페이지가이드
역사
축제
체험
문화재
역사
웅진연표
공주역사개관
고대왕국백제와공주
웅진연표
성왕
SNS공유 열림버튼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SNS공유 닫힘버튼
복사하기
프린트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성왕 재위년수 : 32년 (A.D523~554)
523년 : 무령왕 23
성왕(聖王) 1
2. 왕이 한성(漢城)으로 행차하여 좌평 인우(因友)와 달솔 사오(沙烏) 등에게 명하여 15세 이상자를 동원하여 쌍현성(雙峴城)을 쌓음.
5. 무령왕이 죽고 성왕이 즉위함. 시호법(諡號法) 시작. 이해. 무령왕지석(武寧王誌石) 만듦.
동아시아정세
한국
봄. 가뭄발생. (고)
10. 기근이 있어 백성들을 구휼함. (고)
11. 북위에 사신 보냄. 적전(藉田) 경작. (고) 이해. 감사지(監舍知) 19인을 둠. (신)
중국
12. 철전(鐵錢)을 주조함. (양) 이해. 승려 송운(宋雲)이 인도(印度)에서 돌아옴. (양) 옥야진(沃野鎭)의 민(民)이 반(反)함. (북위) 효원서(孝院緖)의 《7록(七錄)》이 이룩됨. 해남성(海南省)의 숭악사탑(嵩岳寺塔)이 이룩됨.
524년 : 성왕2
이해. 양(梁) 나라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동아시아정세
한국
9. 왕이 남쪽 변경을 순시함에 가야왕이 와서 만남. (신) 이해. 군사당주(軍師幢主)를 둠. 울진봉평신라비(蔚珍鳳坪新羅碑) 만듦. (신)
중국
8. 진(鎭)을 고쳐서 주(州)로 함. (북위)
525년 : 성왕3
2. 신라와 교빙함. 이해. 무령왕릉(武寧王陵) 축조. 이무렵. 정읍 은선리고분군 유적 형성.
동아시아정세
한국
2. 대아찬 이등(伊登)을 사 벌주(沙伐州)의 군주(軍主)로 삼음. (신) 이해. 울주천전리서석원명(蔚州川前里書石原銘) 새김. (신)
중국
1. 북위의 원법승(元法僧)이 항복해 옴. (양) 이해. 배수(裴邃)가 북위군대를 수양(壽陽)에서 무너뜨림. (양) 서부(西部) 철륵(鐵勒)이 항복함. (북위)
526년 : 성왕4
10. 웅진성(熊津城)을 수리하고 사정책(沙井柵)을 세움. 이해. 승려 겸익(謙益)이 인도에 감.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양(梁)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11. 북위(北魏)의 수양(壽陽)을 취함.(양) 이해. 갈영(葛榮)이 배반하고 자립함. (북위)
일본
9.13. 도읍을 대화(大和)의 반여옥수궁(磐余玉穗宮)으로 옮김.
527년 : 성왕5
이해. 대통사(大通寺), 대도사(大島寺)를 창건함. 동아시아정세
동아시아정세
한국
11. 양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이차돈(異次頓)이 순교함. 불교공인(혹은 528년) 흥륜사(興輪寺) 영취사(靈鷲寺) 창건. (신)
중국
1. 갈영(葛榮)이 북위를 침입함. (양)
3. 무제(武帝)가 동태사(同泰寺)에 사신(捨身)함. (양) 이해. 북위가 광릉(廣陵)에서 이기고, 달마(達磨)가 광주(廣州)에 옴. (양) 역도원이 죽음. (북위)
일본
6.3. 근강모야신(近江毛野臣)이 임나의 잃었던 땅을 회복하고자 6만의 군사를 이끌고 출발하였으나, 축자국(筑紫 國)의 조반정(造磐井)이 반란을 일으켜 중도에서 정지되었음.
8.1. 물부(物部) 대연추록화을 보내어 반정(磐井)을 토벌하려고 출발함.
528년 : 성왕6
동아시아정세
한국
2. 화엄사(華嚴寺) 창건. (신)
중국
2. 호태후(胡太后)가 효명제(孝明帝)를 시해하고 효장제(孝莊帝)가 즉위함. (북위)
4. 효장건의(孝莊建義)로 개원함. (북위) 이해. 원호(元顥)를 세워 위왕(魏王)으로 함. (양)
일본
11.11. 물부대연 추록화(物部大連 鹿火)가 반정(磐井)과 축자(筑紫) 의 어정군(御井郡)에서 교전하여 반정의 목을 벰.
12. 반정의 아들 축자군갈자(筑紫君葛子)가 조옥둔창(糟屋屯倉)을 바치고 죄를 면함.
529년 : 성왕7
10. 고구려 안장왕(安臧王)이 쳐들어 와 북쪽 변경의 혈성(穴城)을 함락함. 이에 오곡원(五谷原)에서 이를 물리침.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왕이 황성(黃城)의 동쪽에서 사냥함. (고) 이해. 불법(佛法)에 따라 살생(殺生)을 금함. (신)
중국
7. 처음으로 오수전(五銖錢)을 주조함. (북위) 이해. 위왕 원호가 영성(榮城)에 이르러 제(帝)를 칭함. 다시 동경사(同慶寺)에 사신(捨身)함.《문선(文選)》의 저자인 소명태자(紹明太子)가 죽음. (양)
일본
3. 백제에게 가야의 다사진(多沙津)의 영유을 인정함. 가야·신라와 동맹함. 근강모야신( 近江毛野臣)을 안라(安羅)에 보냄.
4.7. 임나왕의 기능말다간기(己能末多干岐)가 와서 신라의 침략을 고함.
4. 근강모야신이 임나왕을 보내면서 임나의 잃어버린 땅을 회복할 것을 꾀함.
9. 거세남인대신(巨勢男人大臣)이 죽음. 모야신(毛野臣)이 대마도에서 모반을 일으킴.
530년 : 성왕8
동아시아정세
중국
3. 이주(爾朱)·천광(天光)이 토벌하여 만후추노(萬侯醜奴)를 평정함. (북위) 이해. 이주조(爾朱兆)가 반하고 정광왕(長廣王) 엽(曄)을 장자(長子)에 세우고 낙양으로 들어와서 효장제(孝莊帝)를 시해함.
일본
9. 임나가 근강모야신(近江毛野臣)의 실정(失政)을 고함. 이해. 모야신(毛野臣)이 소환되 어 가는 도중에 대마도에서 병으로 죽음.
531년 : 성왕9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제방(堤防)을 수리하게 함. (신) 4. 이찬(伊 ) 철부(哲夫)로 상대등(上大等)을 삼음. (신)
5. 안장왕(安臧王)이 죽고 안원왕(安原王)이 즉위함. 양나라에서 안원왕의 작호를 보내옴. (고)
중국
2. 이주세륭(爾朱世隆)이 장광왕(長廣王)을 폐하고 절민제(節閔帝)를 세움. (북위)
11. 고환(高歡)이 후폐제(後廢帝)를 세움. (북위) 이해. 소명태자(昭明太子) 소통(蕭統)이 죽고, 강(綱)을 세워 태자로 함.(양)
일본
2.7. 계체천황(繼體天皇)이 왕위를 물러나서 그날 죽음. 안한천황(安閑天皇)이 임금의 자리를 물려받음.
532년 : 성왕10
7. 유성이 떨어짐.
동아시아정세
한국
3. 북위에서 왕에게 작호를 보내옴. (고)
4. 양에 사신 보냄. (고)
6. 북위에 사신 보냄. (고)
9. 금관가야(金官加耶)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 (금관가야 멸망)(신)
11. 양에 사신 보냄. (고)
중국
1. 이주세륭(爾朱世隆)을 주살하고 고환(高歡)이 낙양에 들어와서 절민제(節閔帝)를 폐하고 효무제(孝武帝)를 세움. (북위)
4. 태창(太昌)으로 개원함. (양)
12. 영흥(永興)으로 개원하고 다시 영희(永熙)로 개원함. (양) 이해. 절민제(節閔帝)를 시해함. (북위)
533년 : 성왕11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왕자 평성(平成)을 태자(太子)로 삼음. (고)
2. 북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1. 고환(高歡)이 수용(秀容)을 습격하고 이주조(爾朱兆)를 죽임. (북위)
5. 북위의 하비성이 배반하여 항복해옴. (양) 이해. 북위가 옹주(雍州)를 침략함. (양) 이무렵. 북위에서 남인도의 달마(達磨)가 죽음.
534년 : 성왕12
3. 양나라에 사신을 보냄.
4. 혜성이 나타남.
동아시아정세
한국
이해. 동위(東魏)에서 왕에게 작호를 보내옴. 북위(北魏)에 사신을 보냄. (고) 상대등(上大等) 철부(哲夫)가 죽음. (신)
중국
10. 고환(高歡)이 효정제(孝靜帝)를 세움. (동위 건국)
윤12. 우문태가 효무제(孝武帝)를 시해하고 문제(文帝)를 세움. (북위멸망)(서위) 이해. 북위(北魏)가 우문태(宇文泰)의 서위(西魏)와 고환(高歡)의 동위(東魏)로 나누어짐.
일본
1. 도읍을 대화(大和)의 광금교(廣金橋)로 옮김.
4. 이심국조(伊甚國造)가 뒤에 궁에 난폭하게 들어온 죄에 따라 황후를 위해 이심둔창(伊甚屯倉)을 설치함.
10.5. 3비를 위하여 둔창(屯倉) 전부(田部)를 설치함.
12.4. 3도로 행차하여 3도 죽촌둔창(竹村屯倉)을 설치함.
12. 곳곳에 둔창(屯倉)을 설치함.
535년 : 성왕13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양나라에 사신 보냄. (고)
5. 남쪽지방에 홍수가 나서 민가(民家)가 표몰됨. (고)
10. 지진발생(고)
12. 우뢰가 있고 전염병이 유행함. (고) 이해. 흥륜사(興輪寺), 영흥사(永興寺) 창건(신) 북위에 사신 보냄. (고)
중국
12. 문무관록을 정함. (동위) 이해. 동위의 양주(梁州)가 배반하여 항복해 오고 또 동익주(東益州)가 배반하여 항복해 옴. (양) 신궁(新宮)을 지음. (동위) 이무렵. 운강석굴(雲岡石窟)공사가 완성됨.
일본
4.1. 광사인부(廣舍人部), 광채부를 설치함.
5.9. 축자(筑紫)·풍(豊)·화(火)·파마(播磨) 외 여러 나라에 둔창을 설치함.
8.1. 나라마다 견양부(犬養部)를 설치함.
12.17. 안한천황(安閑天皇)이 죽고 선화천황(宣化天皇)이 즉위함.
536년 : 성왕14
동아시아정세
한국
봄.여름. 가뭄이 심하고 기근이 들어 백성을 구휼함. (고)
8. 누리의 재해가 있음.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칭하여 건원(建元)이라 함.영천청제비(永川菁堤碑) 건립. (신) 건흥오년병진명금동광배(建興五年丙辰銘金銅光杯)만듦. (고)
중국
12. 양(梁)과 화평함. (동위) 이해. 동위의 행대후(行臺侯) 경(景)이 침략해오고 진경지(陳慶之)가 그를 무너뜨림. (양)
일본
1. 도읍을 대화(大和)의 회외입야로 옮김.
2.1. 대연대반금촌(大連大伴金村)·물부추록화외에 대신소아도목(大臣蘇我稻目)·대부아부대마려 (大夫阿部大麻呂)를 둠.
5.1. 축자(筑紫)의 나진(那津)에 관가를 세우고, 여러 나라의 둔창의 곡식을 운반하여 비상시에 대비함.
7. 대연물부추록화가 죽음.
537년 : 성왕15
동아시아정세
한국
3. 기근이 있어 진휼함. (고)
12.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12. 우문태(宇文泰)가 동위를 치고 고환(高歡)을 위곡(渭曲)에서 무너뜨림. (서위) 이해.《남제서》를 편찬한 소자현(蕭子顯)이 죽음.
일본
10.1. 대연대반금촌(大連大伴金村)의 아들 반(磐)과 협수언(狹手彦)형제에게 임나의 구원을 명함.
538년 : 성왕16
봄.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12. 일본에 태자상(太子像) 관불기(灌佛器) 등을 보냄. 이해. 일본에 불교(佛敎)를 전수함. 공주 송산리 5호분 만듦.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지방 관리에게 가족을 데리고 부임하는 것을 허락함.(신) 이해. 백률사(栢栗寺) 창건. (신)
중국
12. 사찰 남설을 금지함. (동위) 이해. 무제(武帝)가 동태사(同泰寺)에서 우란분제(盂蘭盆齊)를 개최함. (양)
일본
무오년에 백제의 성명왕(聖明王)이 조정에 불상·경론 등을 선사함.
539년 : 성왕17
동아시아정세
한국
5.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8. 동위(東魏)에 사신 보냄. (고) 이해.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 만듦. (고) 울주천전리서석추명(蔚州川前 里書石追銘) 새김. (신)
중국
11. 여러 주(州)를 나누어서 5품(品)으로 구분함. (양) 이해. 예악(禮樂)을 제정함. (서위)
일본
2.10. 선화천황(宣化天皇)천황이 죽음.
12.5. 흠명천황(欽明天皇)이 즉위함.
540년 : 성왕18
9. 연회(燕會)에게 명하여 고구려의 우산성(牛山城)을 공격하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법흥왕 때 아시량국(阿尸良國)을 통합함. 〈미지악(美知樂)이 지어짐. (신)
7. 법흥왕이 죽고 진흥왕(眞興王)이 즉위함. (신)
8. 죄인을 사면해 줌. (신)
10. 지진 발생. (신)
12. 동위(東魏)에 사신 보냄. (고) 이해. 왜에 사신 보냄. (가) 왜에 사신 보냄. (고) 왜에 사신 보냄. (신)
중국
11. 토곡혼(吐谷渾)이 사신을 동위에 보냄. (동위) 이해. 유연(柔然)이 서위를 침략함. (서위)
일본
2. 백제인 기지부(己知部)가 귀화함.
3. 하이(蝦夷)·준인( 人)이 귀속함.
7.14. 도읍을 대화(大和)의 자성도(磯城嶋)로 옮김.
8. 고구려·백제·신라·임나가 조공함. 진씨·한씨 등의 귀화인의 호적을 편성함.
9.5. 난파축진궁(難波祝津宮)에 행차함.
541년 : 성왕19
이해. 양(梁)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모시박사(毛詩博士)와 열반(涅槃)등의 경의(經義) 및 공장(工匠)과 화사(畵師)등을 청함. 양(梁)에서 이를 허락함. 신라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요청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양나라에 사신 보냄. (고) 눈이 많이 옴. (신) 이해. 이사부(異斯夫)를 병부령(兵部令)으로 삼음. (신)
중국
10. 〈인지격(麟趾格)〉을 반포함. 크게 풍년듦. (동위) 이해. 관원(官員)을 줄이고 둔전(屯田)을 둠. 6조(條)를 반포함. (서위)
일본
4. 임나의 일본부길비신모 (日本府吉備臣某)가 백제로 가서 임나의 부흥을 꾀함.
7. 안라(安羅)의 일본부(日本府)가 신라와 내통하여 백제가 사자를 보내 징계함.
542년 : 성왕20
동아시아정세
한국
12.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이해. 안성(安成)의 요인(妖人)이 난을 일으켜 왕승변(王僧辯)이 평정함. (양) 처음으로 6군(軍)을 설치함. 진패선(陳覇先)·노자격(盧子格)의 난을 평정함. (서위)
543년 : 성왕21
동아시아정세
한국
11. 동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3. 태망산(泰邙山)에서 서위와 싸워 크게 무너뜨림. (동위)
11.장성(長城)을 쌓음. (동위)
일본
9. 백제의 성명왕(聖明王)의 사자가 재물등을 바침.
11.8. 진수연(津守連)을 백제로 보내 임나 부흥을 꾀함.
12. 백제 성명왕,밀본의 요청에 따라 임나부흥을 꾀함.
544년 : 성왕22
1. 일본에 사신을 보냄.
10. 사신 득문(得文)·기마(奇麻) 왜에서 귀국함.
11. 일본에 사신을 보냄.
동아시아정세
한국
2. 흥륜사(興輪寺) 준공. (신)
3. 출가하여 승려가 되는 것을 허락함. (신)
11.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중원소경(中原小京) 설치. 대당(大幢)설치. (신)
중국
이해. 신제(新制)를 반포하고, 도량형(度量衡)을 고침. 교지(交趾)의 이분(李賁)이 배반함. (서위) 무적자(無籍者)를 입적하게 함으로써 조세를 고르게 함. (동위)
일본
1.∼11. 여러 차례 사자(使者)를 보내, 임나 부흥을 꾀하였으나, 일본부관인의 성의가 없어, 그 성과가 없음.
12. 월국(越國)으로부터, 숙신인(肅愼人)이 좌도도(佐渡嶋)에 들어와 도착했다는 보고가 있음.
545년 : 성왕23
9. 일본을 위하여 장륙불상(丈六佛像) 구조.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안원왕(安原王)이 죽고 양원왕(陽原王)이 즉위함. (고)
7. 거칠부(居柒夫) 등이 《국사(國史)》 편찬함. (신)
12.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3. 돌궐(突厥)에 사신을 보냄. (서위) 이해. 진패선(陳覇先)이 교지(交趾)의 이분(李賁)의 난을 평정함. (서위) 진양궁(晋陽宮)을 지음. (동위)
일본
3. 선신파제편(膳臣巴提便)이 백제에 사자로 감.
11. 선신파제편이 귀국하여 호퇴치(虎退治)를 보고함.
546년 : 성왕24
1. 사신 기연(己連) 등이 일본에서 귀국함.
6. 약엽례(掠葉禮) 등 일본에 파견
동아시아정세
한국
4. 우박이 내림. (고)
11. 동위(東魏)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3. 무제(武帝)가 불경을 동태사(同泰寺)에서 강독함. (양) 이해. 부도(浮圖)에 화재가 나서 다시 그것을 만듦. (양) 아사나부(阿史那部)의 사문(士門)이 북주(北周)에 사신 보냄. (서돌궐)
547년 : 성왕25
1.1. 일식 이해. 장륙불상 주조
동아시아정세
한국
7. 백암성(白嚴城)을 쌓고, 신성(新城)을 수리함. 동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1.대승상(大丞相) 고환(高歡)이 죽음. (동위)
3.무제(武帝)가 동태사(同泰寺)에 사신(捨身)함. (양)
일본
4. 백제 원군을 요청함.
548년 : 성왕26
1. 고구려가 예(濊)와 공모하여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함. 이에 사신을 신라에 보내 구원을 요청함.
윤7. 약엽례(掠葉禮) 등이 일본에서 귀국함. 10. 일본에서 300여명을 보내어 득이신성(得爾辛城)축조를 도와 줌.
동아시아정세
한국
1. 백제의 구원 요청에 주진(朱珍)을 보내어 고구려병을 격파함. (신)
9. 동위에 사신을 보냄. (고)
중국
2.사신을 보내어 동위에 화평을 요청함. (양) 이해.후경(侯景)이 반함. 후경이 소정덕(蕭正德)으로써 제(帝)를 칭하게 함. (양)
549년 : 성왕27
10. 양나라에 사신을 보냈으나 이때 양(梁)에는 후경의 난이 있어 백제 사신이 후경(侯景)에게 잡힘.
동아시아정세
한국
봄. 승려 각덕(覺德)이 양나라 사신과 함께 불사리(佛舍利)를 가지고 돌아옴. (신)
10. 동위에 사신을 보냄. (고) 이해. 대관대감(大官大監)을 둠. (신)
중국
2. 후경(侯景)이 대승상(大丞相)이 됨.후경이 반란을 일으켜 건강(建康)을 함락함. (양)
15. 무제(武帝)가 죽고 간문제(簡文帝)가 즉위함. (양)
18. 도적이 고징(高澄)을 업에서 죽임. (동위)
12. 진패선(陳覇先)이 군대를 일으켜 후경(侯景)을 토벌함. (양)
일본
6.7. 일본부 관인(日本府 官 人)의 고구려 내통의 허실 조사를 백제에게 약속하고, 백제의 원군 파견 정지 요청을 승낙함.
550년 : 성왕28
1.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을 점령함.
3. 고구려가 쳐들어와 금현성(金峴城)을 점령함. 이무렵. 금동입상(金銅立像) 만듦.
동아시아정세
한국
3. 이사부(異斯夫)가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과 백제의 금현성(金峴城)등 2성(城)을 점령함. (신)
6. 북제에 사신 보냄. (고)
9. 북제(北薺)에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 (고) 이무렵. 진주가좌동고분군유적형성. (가) 통구삼실총, 쌍영총, 성총, 각저총, 구갑총, 무용총, 개마총,집안우산하(集安禹山下) 1080호분유적·춘성방동리고분유적, 춘성신매리고분유적 등 형성. (고)
중국
이해. 고양(高洋)이 제왕(齊王)이 되고 고양이 효정제(孝靜帝)를 찬탈하여 중산왕(中山王)으로 함. (동위가 멸망함. 북제(北齊)가 건국됨.) 처음으로 부병제(府兵制)를 만듦. 양잠법이 동로마에 전해짐. (서위) 후경(侯景)이 한왕(漢王)을 칭함. (양)
일본
2.10. 백제에 대해 충성의 증표로서 중신(重臣) 마무(馬武)를 대사로 파견한 것을 요구함.
3.12. 일본의 사자가 백제에 도착함.
4.1. 일본 사자가 귀국길에 오름.
551년 : 성왕29
이해.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함. 한강 하류지역 점령.
동아시아정세
한국
1. 연호를 고치어 개국(開國)이라 함. (신)
3. 가야의 악사 우륵(于勒)이 신라로 이주. 신라왕이 우륵(于勒)과 그의 제자 이문(尼文)을 불러 하림궁(河臨宮)에 머무르며 연주하게 함. (신)
5. 북제(北齊)에 사신을 보냄. (고)
9. 신성(新城), 백암성(白嚴城)을 습격한 돌궐을 격퇴함. (고)
11. 승려 혜량(惠亮)이 최초로 백고좌강회(百高座講會)와 팔관회(八關會)를 개최함. (신) 이해. 죽령(竹嶺) 이북 10군(郡)을 점령, 단양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세움. (신)
중국
10. 후경(侯景)이 절문제(節文帝)를 시해함. (양)
11. 후경(侯景)이 스스로 한제(漢帝)를 칭함. (양) 이해. 문제(文帝)가 죽고 태자 흠(欽)이 즉위함. 공주(公主)가 돌궐(突厥)에 시집감. (서위) 중산왕(中山王)을 시해함. (북제) 비단을 만드는 방법을 유럽에 전파함.
552년 : 성왕30
5. 목협금돈 등을 왜에 보냄.
10. 금동석가상(金銅釋迦像) 1구(軀), 미륵석불, 경론(經論) 약간권을 일본에 보냄. 노리사치계(怒唎斯致契)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이해. 장안성(長安城) 쌓음. 북제의 요청으로 유민(流民) 5,000여호(戶)를 돌려줌. (고) 가야인 우륵(于勒)을 국원(國原)에 안치하고 계고(階古) 법지(法知) 만덕(萬德)이 우륵에게 음악을 배움. 상주정(上州停) 설치.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만듦. (혹은 612년) (신)
중국
1. 돌궐(突厥)의 토문(土門)이 유연(柔然)의 두병가한(頭兵可汗)을 죽이고 이리가한(伊利可汗)을 칭함.
11. 원제(元帝)가 강릉(江陵)에서 즉위함. (양) 이해. 무릉왕(武陵王) 기(紀)가 제를 성도(成都)에서 제를 칭함. 후경(侯景)이 호두주(胡豆洲)에서 죽음. (양) 이무렵. 돌궐 제국이 성립함.
일본
5.8. 백제가 고구려·신라연합군 의 침공을 알리고, 원군을 청함.
10. 백제의 성명왕이 금동불(金銅佛)·경론등을 줌. 숭불(崇佛)의 가부를 둘러싸고 대립이 생김. 도목(稻目)이 그의 집을 절로 함.
553년 : 성왕31
7. 신라가 동북변경을 침략하여 한강하류지역을 점령하여 나제동맹이 결렬됨.
10. 왕의 딸을 신랑왕에게 시집보냄. 이해. 왕자 여창(餘昌)이 일본에서 고취(鼓吹)를 들음. 왜에 원병을 청함.
동아시아정세
한국
2. 신궁(新宮)을 고쳐 황룡사(皇龍寺)를 세우기 시작함. (신)
7. 백제의 동북변경지방을 점령한 후 신주(新州)를 설치. (신) 이해. 법주사(法住寺) 창건. (신) 북제의 공격을 받은 거란이 내투해옴. (고)
중국
2. 돌궐(突厥)의 이리가한(伊利可汗)이 죽음. (돌궐)
10. 거란(契丹)을 크게 무너뜨림. (북제)
11. 돌궐(突厥)이 자진 항복함. (북제) 이해. 무릉왕(武陵王) 기(紀)를 죽임. (양) 숙예(宿預)가 배반하고 양(梁)에 항복함. (북제)
일본
1.12. 백제, 원군을 요청함.
5.1. 하내국(河內國)으로부터, 화천(和泉)의 아정해에 입목이 떠다닌다는 보고가 있었음.
5. 떠다니는 입목을 주워서 불상을 만듦.
6. 백제에서 의·역(易)·력(曆)박사의 교대를 요청함.
7.4. 장광궁(樟勾宮)에 행차하여 왕진이 (王辰爾)에게 배의 세를 걷게 하고 선사(船史)의 성(姓)을 줌.
554년 : 성왕32
위덕왕(威德王)
2. 삼근(三斤), 기마차(己麻次) 등을 일본에 파견.
3. 왜에 갔던 사신 문차(文次)가 귀국함.
7. 왕이 직접 신라를 공격하기 위해 군사를 이끌고 구천(狗川)에 이르렀으나 ,관산성(管山城)에서 신라의 북병의 공격을 받아 성왕(聖王)이 전사함. 위덕왕 즉위.
10. 고구려가 백제 웅천성(熊川城)을 공격해 왔으나 물리침. 이해. 일본에 역박사(曆博士), 오경박사(五經博士)를 보냄. 담혜(曇惠) 등 승려 9명, 일본에 감.
동아시아정세
한국
7. 명활성(明活城)을 수리함. (신)
12. 일식. 얼음이 얼지 않음. (고)
중국
1. 우문태(宇文泰)가 공제(恭帝)를 세우고 연이어 그를 시해함. (서위)
11. 서위(西魏) 군대가 강릉(江陵)에 들어와 원제(元帝)를 죽임. (양) 이해. 노자(老子)를 용광전(龍光殿)에서 강론함. (양) 산호(山胡)를 무너뜨리고 또 유연(柔然)을 무너뜨림. (북제)
일본
2. 백제로부터의 오경박사·승 9인이 교대하다. 또 의·역(易)·력(曆)박사, 채약사(採藥師) 악인(樂人)등도 교대함.
12. 백제, 신라와의 공방을 알림. 신라군에 포위된 백제의 태자 여창(余昌)을 구출함.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문화재과
담당자 :
박미숙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1-09-27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