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19.06
나라를 위한 충정, 독립운동가 오강표
1843~1910 오강표 - 자는 명여(明汝),호는 무이재(無貳齋)로 공주 사곡면 월가리 도덕골에서 태어남.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상소문 「청참조인제적소(請斬調印諸賊疏)」를 지어 관찰사에게 보내 조정에 올리도록 하였지만, 관찰사가 거부하자 자결을 결심하고 은둔함. 1910년 ‘한일합방조약’체결로 국토와 주권을 완전히 빼앗기자 오강표는 절명사(絶命詞)를 지어 망국의 울분을 통곡하고 죽기를 각오함. 1910년 11월, 혹독한 추위가 몰아치던 날, ‘망국의 노예가 되어 따듯하고 배부른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라며 얇은 옷 한벌을 걸치고, 소매 속에 유서를 넣은채 공주향교 명륜당으로 들어가 강학루에 목을 매어 자결함. 오강표의 순절비는 충청남도지정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
공주시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