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등록장애인
정부, 공공기관 : 3%, 민간기업:7%→2.3%(’10~'11), 2.5%('11~’12), 2.7%('13~’14)
구분 | 경증 남성 | 경증 여성 | 중증 남성 | 중증 여성 |
---|---|---|---|---|
입사일로부터 만 3년까지 | 30만원 | 40만원 | 40만원 | 50만원 |
입사3년 초과 만 5년까지 | 21만원 | 28만원 | 40만원 | 50만원 |
만 5년 초과 | 15만원 | 20만원 | 40만원 | 50만원 |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www.kead.or.kr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및 미취업 시각장애인 안마사
급여 및 주요내용
구분 | 내용 | 근로시간 | 급여 |
---|---|---|---|
장애인 복지 일자리 |
공공기관, 복지관 등에 배치되어 공공형(주차단속, 환경도우미, 보육도우미 등)업무를 수행하는 일자리 | 월 56시간 |
|
일반형 일자리 | 자치단체, 행정기관 등 공공기관에 배치되어 행정보조, 복지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일자리 | 주 5일 40시간 |
|
시각 장애인 안마사 파견 | 일정시설 여건을 갖춘 노인복지관 등에 배치하여 안마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 | 주 5일 25시간 |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 요양보호사가 배치된 노인복지 시설 및 노인전문병원 등에 배치되어 노인요양보호사가 수행하는 업무를 보조하는 일자리 | 주 5일 25시간 |
|
시·군·구(읍·면·동)및 위탁기관에서 공개모집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등에서 물품을 생산하는 장애인
등록장애인
장애인이 취업을 통하여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 적응훈련, 취업알선, 지원고용, 취업 후 지도 등 취업과 관련된 종합적인서비스 제공
사업 수행기관 (장애인복지관, 단체, 직업재활 시설 등) 내방, 전화 등으로 이용 신청
등록장애인
일반사업장 취업이 어려운 저소득 중증장애인에게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호 고용 실시
시·군·구에 상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저소득층 생업자금을 대여하므로 대상에서 제외다만, 저소득층 생업자금이 부족하여 못 받는 경우에 한해 가능
읍·면·동에 신청
대여신청은 자금배정 소진 때 까지
읍·면·동에 신청